1.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BK-SnF, 여과형)
비점오염원
오염물질이 특정한 지점 (특정오염원)으로부터가 아닌 불특정지점에서 분포하여 강수에 의해 운반 배수계통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농지에 살포된 비료 및 농약, 대기오염물질의 강하물, 지표상 퇴적 오염물질, 합류식 하수 관거 월류수 내
오염물질 등 주로 강우 시 강우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곳.
비점오염물질의 종류
토사(Sediment), 영양물질(Nutrients)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Bacteria & Viruses),
기름과 그리스(Oil & Grease) , 금속(Metals) , 유기물질(Organics), 살충제(Pesticides),
협잡물(Gross Pollutants) 등
대상사업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17개 분야
도시개발/산업단지/도로건설/개발사업 등
폐수배출시설 설치, 10,000㎡ 이상의 18사업장
금속광업/섬유염색/나무제품/화학제품 등
전략 혹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수질보전대책에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을 수립한 경우
공정흐름도
우수용 배수설비 공사
공정의 특징
1. 침전, 스크린, 여과의 구성을 소형화하여
유지관리가 용이, 비용이 저렴.
2. 오염물의 성상에 맞는 모듈선택이 가능하며 다단 섬유 및
입상 여재는 공간압축 방식으로 처리효율 극대화
3. 수위에 따른 자동 역세 장치 적용